[현장연결] 이창용 "국내물가 둔화추세 지속…속도는 완만 예상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국은행이 오늘(11일) 기준금리를 연 3.5%로 동결했습니다. 지난 1월 이후 8차례 연속 동결 결정을 내린 건데요.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금리 동결 배경을 설명하고 있습니다. 직접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[이창용 / 한국은행 총재]<br /><br />먼저 국내외 경제 여건을 설명드린 후에 기준금리 결정 배경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우선 대외 여건을 살펴보면 글로벌 경기는 주요국의 통화 긴축 기조가 지속되면서 둔화 국면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미국은 성장세가 둔화되겠지만 12월 연준 회의 이후 완화된 금융 여건과 양호한 고용 상황을 감안할 때 둔화 속도가 완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유로 지역은 대외 수요 약화의 영향으로 성장 부진이 이어지겠으며 중국은 부동산 경기 부진이 지속되면서 성장률이 4% 중반으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주요국의 인플레이션은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목표 수준으로 안정되기까지에는 아직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미국과 유로 지역의 2023년 말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% 내외 수준으로 9에서 10%에 이르렀던 2022년 고점에 비해 크게 낮아졌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앞으로는 둔화 속도가 완만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2% 수준으로 수렴하는 시기도 내년 하반기 이후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국제 금융시장에서는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면서 주요국 국채금리가 하락하고 미 달러화는 약세를 나타냈으며 글로벌 주가는 상승하였습니다.<br /><br />다음으로 대내 여건을 살펴보면 국내 경기는 수출을 중심으로 완만한 개선 흐름을 이어갔습니다.<br /><br />소비는 높아진 물가와 금리의 영향으로 회복세가 약화되었지만 수출은 자동차와 반도체를 중심으로 증가세를 지속하였습니다.<br /><br />앞으로 국내 경제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의 개선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며 금년 성장률도 지난해 11월 전망치였던 2.1%에 대체로 부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이는 지난해 11월 전망과 비교해 볼 때 대면 서비스 소비 약화로 소비 전망치가 소폭 하향 조정되었지만 수출이 반도체 경기 개선으로 소폭 상향 조정됨으로써 소비의 하향조정을 상쇄한 결과입니다.<br /><br />향후 성장 경로는 고금리 지속의 파급 영향, IT 경기의 개선 정도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국내 물가는 국제 유가 하락과 낮은 수요 압력의 영향으로 둔화 추세를 지속하였습니다.<br /><br />(지난해) 10월 중 3.8%까지 높아졌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2월에는 3.2%로 낮아졌고 근원 인플레이션과 단기 기대 인플레이션도 각각 2.8%와 3.2%로 둔화되었습니다.<br /><br />앞으로 국내 물가는 둔화 추세를 이어가겠지만 누적된 비용 압력의 파급 영향 등으로 둔화 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(이하 생략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(끝)<br /><br />